특집

본문글자크기
기사의 제목, 출처, 작성일 정보 안내
2024년 07월호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손잡고 방사선바이오 연구 협력
- 방사선바이오 산업기술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의 조기 활성화에 기여
2024-07-05

  동위원소 및 방사선의 의학적, 산업적 활용을 위하여 협력하고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를 조기에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손을 맞잡는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원장 이창훈)은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과 방사선 의·과학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원에서 진행한 체결식에는 이창훈 의학원장,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과 양 측 주요 보직자들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 동위원소의 의학적 및 산업적 활용을 위해 상호 정보 공유 및 협력 ▶ 공동 연구와 연구기기 공동 활용, 인재 양성 지원 ▶ 부산광역시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의 조기 활성화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들 간 연구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특히 수출용 신형연구로에서 생산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활용하여 방사성의약품 개발의 초석을 마련하고, 방사선바이오 연구개발과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를 조기에 활성화하여 동위원소를 해외에 수출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이창훈 의학원장은 “이미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는 교통 혼잡이 빚어질 정도로 많은 기업체와 연구소들이 입주해 있다. 이번 협약이 부산을 방사선 의·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장 지역은 국내 최대 규모의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지역이 될 뿐만 아니라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 신약을 개발하여 끊임없는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다. 동위원소 관련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주한규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우리나라 고유의 기술로 세계적인 사업을 개발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의 연구역량과 산업화 기술을 결집하여 기장 지역이 원자력 발전과 비발전분야를 아우르는 세계적인 방사선 허브가 됨으로써 방사선의료의 세계화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협약식에 앞서 양 기관은 공동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공동 워크샵에서는 ▷ 방사성의약품 GMP시설 활용 미래 발전전략(이홍제 연구센터장) ▷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신약개발(이용진 부장) ▷ 엑소좀 기반 방사성동위원소 탑재 바이오 약물전달 시스템(김중국 박사) ▷ 연구용 원자로 기반 RI 연구현황(홍진태 부장) ▷ RFT-30 사이클로트론 기반 방사성동위원소 개발현황(박정훈 실장) ▷ 양성자과학연구단의 동위원소 생산시설 및 개발현황(박준규 부장) 등에 대해 발표하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혁신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과 방사선바이오 산업 기술의 전략적 협력을 목표로 최신 연구동향을 공유하고 열띤 토론을 펼쳤다.

 

  한편, 27일 오전에는 의학원 대강당에서 ‘제1회 방사선의과학 미래혁신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방사선의과학 미래혁신 심포지엄은 동남권 방사선의·과학단지가 세계적인 방사선의과학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하여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이 협력할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함으로써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실용화까지 이어질 수 있는 공론의 장으로 마련되었다.

  방사선의과학 분야 국내전문가 50여명이 참여한 이번 심포지엄은 부산대학교병원 의공학과 노정훈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 방사선치료기 국산화 및 동남권 가속기 산업 활성화 방안(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의학물리연구팀 이만우 팀장) ▷ 광자방사화분석을 이용한 해양미세조류 미량분석 연구(동남권원자력의학원 방사선량평가연구팀 김효진 박사) ▷ 첨단재생바이오법과 산업 현황(재생의료진흥재단 정책기획팀 김용민 팀장) ▷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고선량 방사선 피폭치료제 연구(한국원자력의학원 피폭치료연구팀 이승범 팀장) ▷ 중입자 치료 소개(서울대학교병원 종양학과 손재만 교수) 등에 대해 발표하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의 조기 활성화를 통한 성과 창출을 위하여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였다.

  심포지엄을 기획한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이홍제 연구센터장은 “동남권 방사선의·과학 산업단지에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뿐 아니라 2026년 중입자치료센터, 2027년 수출용 신형연구로 구축이 완료된다.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이 긴밀한 협업을 통해 방사선의과학 분야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혁신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신성장산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인재를 육성하는데 기여하여 우수한 기업들이 모이는 부산을 만드는 데에도 노력하겠다. 앞으로 심포지엄을 통해 연구기관 간 협업의 장을 정기적으로 마련하여 방사선의과학 미래혁신 과학기술을 선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 덧글달기
    덧글달기
       IP : 18.97.14.9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