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본문글자크기
기사의 제목, 출처, 작성일 정보 안내
첨단 방사성의약품의 미래를 말한다.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 후기)
한국원자력의학원 RI응용부 박승일2020-12-02

 

2020년 제7회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 추계학술대회는 11th China-Japan-Korea Symposium on Radiopharmaceutical Sciences (CJKSRS 2020)와 공동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현재 COVID-19 방역상황으로 인하여 온라인 학술대회 형식으로 2020년 11월 13일 단독 개최되었다. 유튜브 스트리밍을 활용하여 쌍방향 소통형식으로 학술대회가 진행이 되었다. 본 행사에 앞서 포스터 발표를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하여 게시하였다. 8편의 포스터 내용을 동영상 형식으로 방사성의약품 연구에 관한 젊은 연구자들의 발표로 구성되었다.

 

 그림1) 서강대학교 지대윤 교수 강연

 

본 행사는 먼저 Special lecture로 시작을 하게 되었다. 특별 강연의 연사로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겸 퓨처켐 대표이사 지대윤 교수로 Moving from basic organic chemistry to application의 제목으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먼저 지대윤 교수의 연구의 발자취를 통해 방사화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최초 방사화학을 접한 계기 그리고 학위과정과 연구내용에 대해 강연하였다. 그리고 다음 주제로 방사성 의약품의 의약품으로의 응용에 대해 실제 개발되어 상용화 된 약품과 연구개발중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시간으로 강연을 마무리 하였다. 그리고 강연 이후 지대윤 교수의 그동안 학회의 공로에 대해 감사패를 증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두 번째로 차례로 기획된 Plenary lecture는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 윤주영 교수를 연사로 초빙되어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은 Recent progress on activatable photosensitizers and fluorescent probes의 제목으로 다양한 광감작 또는 형광 프로브에 대한 연구 내용을 강연하였다. 이번 강연 역시 크게 두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진행이 되었다.

첫 번째로 다양한 광감작제와 형광체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샌드위치 타입의 ATP 광감작체, Zn2+에 세포내에서 높은 선택성을 보이는 형광 프로브 연구, 차아염소산과 차아염소산 이온에 대해 선택성을 가지는 형광프로브의 개발에 대한 연구, Phosgen과 신경작용제의 이중 감작 가능 형광체 연구등 그동안 형광체와 광감작제의 대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그림2) 이화여자대학교 윤주영 교수 강연 

 

그 다음 주제로 광역학 치료 (Photodynamic Therapy, PDT) 필요한 광감작제에 연구에 대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PDT란 특정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광감작제를 혈관에 투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 암세포에 충분히 축적이 되었을 때 감작제가 흡수하는 특정파장의 빛을 종양에 조사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윤주영 교수는 그동안 연구한 알부민 기반의 나노 구조의 광감응제를 이용한 PDT 치료, DNA에 직접 작용하도록 설계된 PDT용 나노 광감응제, 그리고 중금속 메탈이 없는 PDT용 광감응분자의 연구개발을 소개하였다. 본 강연을 통해 방사성 의약품과 PDT의 접목에 대해 토론 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

이후 점심시간을 비롯한 브레이크 타임을 가진 다음 학회 행사를 계속 진행하였다. 오후 일정은 먼저 일반연제로 총 4명의 연사가 각자 그동안 방사성 의약품 연구개발의 성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일반연제는 김동욱 교수가 좌장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연사당 15분의 발표시간으로 진행 하였다.

먼저 서울대학교 김정민 연구원의 종양의 TSPO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테라노시스 합성과 Tc-99m 표지연구 발표에서는 퇴행성 뇌질환과 각종 종양에서 과발현 되는 전이체 단백질(the translocator protein 18 kDa, TSPO)를 표적으로 하는 Tc-99m이 표지된 진단 치료 동시 물질의 합성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두 번쨰 발표는 서울대학교 이소영 연구원의 인테그린 αγβ3 발현 종양 세포에서 다양한 유형의 cRGD펩타이드들의 내재화 능력 평가연구라는 주제로 인테그린 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가지는 여러 가지 고리형 RGD(cRGD) 펩타이드들의 세포 내제화 평가를 비교한 결과를 보고 하였다. 세 번째 발표는 퓨처켐의 김민환 박사의 1,2,3-트리아졸 겳합된 PSMA 표적 전립선암 진단용 18F 표지 방사성의약품 ([18F]FC303)의 채내 동태 전임상 평가라는 제목의 발표였다. 전립선암 진단에 많이 이용되는 PSMA 표적 물질을 9개 선정하여 그중 가장 우수한 특성을 보였던 FC303모델을 선정 후 F-18을 표지한 뒤 전임상 평가한 데이터를 발표하였다. 마지막 발표는 미세플라스틱의 생체내 분포연구에서 PET/CT영상의 유용성 확인이라는 주제로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장우 박사가 발표를 하였다. 미세플라스틱의 체내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미세플라스틱에 Cu-64를 표지 후 이를 PET/CT를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림3) 젊은연구자상 경쟁부문 발표 (한국원자력의학원 안희수)

 

그 다음 행사는 젊은연구자상 경쟁부문의 발표가 진행 되었다. 첫 번째로 한국원자력의학원의 안희수연구원의 방사선 유도 폐섬유화 모델에서 64Cu-NODAGA-galacto-BBN을 이용한 조기 진단 연구 발표로 폐암의 방사선 치료중 나타나는 부작용인 방사선 유도 폐섬유화를 조기 진단하기 위해 64Cu-NODAGA-galacto-BBN의 영산진단제로의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김아란 박사의 동시 진단 치료용 무담체 방사성동위원소 Ho-166 및 Lu-177 생산 연구 발표가 이어졌다. 무담체 Ho-166 및 Lu-177의 생산을 위해 분리 정제 조건을 최적하기 위해 안정 동위원소를 이용 조건을 결정 후 Ho-166과 Lu-177의 분리 정제하여 무담체 동위 원소를 생산 후 이를 7개 연구기관에 공급한 내용을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원자력의학원의 엄새란 박사의 엽산수용체 표적 Cu-64/형광 표지된 금속이중층수산화물 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중영상 프로브 개발 발표가 있었다. 킬레이트없이 금속이중층수산화물에 Cu-64를 직접 표지 후 엽산과 인도시아닌그린 형광물질을 도입하여 다중영상프로브를 개발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림4) 추계학술대회 학술상 발표 (한국원자력의학원 이태섭) 

 

마지막으로 학술상 발표로 한국원자력의학원 이태섭 박사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Development of a theranostic convergence bioradiophamaceutical for Immuno-PET based Radioimmunotheraoy of L1CAM in cholangiocarcinoma model의 제목으로 항체 PET의 내용에 대한 설명과 항체PET 기반 방사성의약품의 진단 및 치료의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모든 강연이 끝난 후 시상식과 총회 결산보고 후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의 추계 학술대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 덧글달기
    덧글달기
       IP : 34.201.37.128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