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특집
이달의 방사선의학 연구자
- 2025년 02월호
[분자영상 및 방사화학 분야] 경북대 유정수 교수님
Huu Bao Nguyen 경북대
유 정 수 경북대
저널명
J Med Chem . 2025 Jan 9;68(1):555-565
논문제목
Evaluation of Dynamic Light Scattering as an Effective Quality Control Method for Aggregates in Radiolabeled Antibodies
연구과제 수행 중 생긴 에피소드
본 연구 그룹은 오랫동안 항체 표지 연구를 수행해 왔지만 연구원이 바뀔 때마다 표지된 항체의 생물학적 활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radio-TLC나 SEC-HPLC로 Q/C를 해도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어 새로운 Q/C 방법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항체 생산 과정에서는 이미 응집 탐지를 위해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DLS)이 자주 사용되지만, 방사성의약품 분야에서는 적용된 예가 거의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그룹은 이에 착안하여 실험을 진행했고, 방사성표지 항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집 문제를 성공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강력한 툴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연구과제 수행 중 보람되었던 일
우리는 동적 광산란(DLS)을 방사성표지 항체의 품질 관리 기준으로 도입함으로써, 연구자 및 제약회사가 더 신뢰할 수 있는 방사성의약품을 생산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기존의 생물학적 활성 평가 결과가 탐지되지 않은 응집에 의해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궁극적으로, 이 품질 관리 방법이 임상 환경에서도 활용되어 방사성의약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기를 기다려봅니다.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사소한 것도 자세히 보고 포기하지 않고 끊임 없이 고민하다 보면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은 소중한 경험입니다.
연구활동 관련 계획
이번 연구에서는 [64Cu]Cu-NOTA-Trastuzumab을 진단용 방사성표지 항체로 연구했지만, 방사성표지 항체는 치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향후 연구를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항체로 확장할 계획이며, 이 방법을 방사성표지 항체의 표준 품질 관리 기법으로 정착시키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기타의견사항
이번 연구는 한국원자력의학원의 안정적인 방사선구리 Cu-64의 공급이 없었다면 시작도 못했을 연구입니다. 오랜 시간동안 국내 연구자에 Cu-64를 공급하여 국내에서도 우수한 연구를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모든 KIRAMS 연구자에 감사드리며, 이제 Cu-64를 이용한 연구가 실험실에서 임상으로 진입하는 연구 단계로 성숙한 것 같아 공동연구를 수행한 입장에서 보람을 느낍니다.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