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특집
이달의 방사선의학 연구자
- 2025년 02월호
[방사선방호 및 안전 분야] 한양대 신방호 연구원님, 김찬형 교수님
신 방 호 (전)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현)University of Florida
김 찬 형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저널명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PMB)
논문제목
ICRP pregnant-female mesh-type reference computational phantoms part 1: development of fetal phantoms
논문제목 (국문명)
ICRP 임신부 메시형 표준 전산팬텀 파트 1: 태아 팬텀 개발
연구과제 수행 중 생긴 에피소드
태아의 경우 팬텀 제작에 필요한 장기질량 데이터 등 인체해부학 데이터가 부재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아의 일반적인 해부학을 팬텀에 반영하기 위해 간접적으로 태아의 해부학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해부학 전문가 및 산과의사로부터의 자문을 통해 개발한 팬텀이 실제 태아의 해부학적 요소를 정밀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메시형 태아팬텀이 실제 태아의 해부학이 반영된 신뢰성 있는 선량결과를 제공하게 된 점이 기억에 남습니다.
연구과제 수행 중 보람되었던 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메시형 태아팬텀은 ICRP에 의해 채택된 최초의 태아팬텀으로, 앞으로 본 팬텀은 ICRP에서 고려하는 다양한 외부 및 내부피폭 상황에 대한 모든 표준 선량계수 산출에 이용될 예정입니다. 이 외에도 모체가 방사성의약품을 섭취했을 때와 같은 핵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본 연구의 결과물이 태아의 선량을 정확하게 평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연구 의의적으로 보람찹니다.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방사선 방호분야에서 인체 전산팬텀을 이용한 선량평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해당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기를 희망하시는 분들은 방사선량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전산팬텀, 인체해부학, 전산모사 등 다양한 분야의 공부를 수행하면 앞으로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연구활동 관련 계획
추후 메시형 모체팬텀을 추가 개발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메시형 태아팬텀을 모체팬텀에 설치함으로써 ICRP 임신부 표준팬텀을 개발 완료할 계획입니다. 또한, ICRP 임신부 표준팬텀을 이용하여 ICRP에서 고려하는 다양한 피폭상황에 대한 표준 선량계수를 산출하는 연구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