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의학, 이것만 알려주마

본문글자크기
기사의 제목, 출처, 작성일 정보 안내
제37화 방사선의학 임상 현황 ②한국원자력의학원 김희진, 김정영 공저2022-04-04

  꿀벌들의 동태가 심상치가 않다. 3월 13일 농촌진흥청은 올 1, 2월 전국에서 약 77억 마리 꿀벌이 사라졌다고 발표했다.1) 꿀벌들의 실종 원인은 해충과 이상기후에 따른 복합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런 꿀벌들의 대규모 실종은 비단 오늘내일 일만은 아니다. 이미 16년 전인 2006년 겨울에서 2007년 봄까지 북반구 꿀벌의 1/4가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꿀벌은 가장 대표적인 수분(受粉) 곤충으로 생태계에 없어선 안 될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개발이 초래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꿀벌들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고 있다.

 



<제주도와 충청도 꿀벌농가의 빈 벌꿀통들2),3), 지구온난화 여파가 일상에서 체감 될 정도로 성큼 다가왔다.> 

 

  기술의 발달은 인간에게 엄청난 수혜를 가져다주었지만,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며 진행한 난개발로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생태계 파괴가 엄청난 속도로 진행되면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다. - 위의 꿀벌의 대규모 실종 사례를 보라 - 결자해지(結者解之)라고 했던가, 이제 사람들은 과학기술을 이용해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를 저지하고자 고군분투하고 있다. 꿀벌 실종을 인지한 농촌진흥청은 곧바로 실태조사에 들어갔고, 현재까지 꿀벌 약 77억 마리가 실종된 상황을 발표한 것은 안타깝지만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연구방향성을 수립하거나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첫걸음은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사선의학 분야도 미래 발전방향과 연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현재 기술 수요 상황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호에서는 3년 전 소개했던 2011년~2015년 방사선치료 현황과 핵의학 진료 현황을 업데이트한 2013년~2017년 방사선의학 임상현황 분석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청구자료 특성 및 결과정리 중인 관계로, 최근 현황을 싣지 못한 점 양해 말씀드린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방사선치료를 받은 전체 환자수는 2013년 62,696명에서 2017년 77,913명으로 15,217명이 증가하였으며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성별 현황은 남자보다 여자가 방사선치료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남자는 35,421명, 여자는 42,492명으로 2013년 대비 남녀 각각 6,849명과 8,368명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2013년~2017년 모두 50대 환자들이 방사선치료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방사선치료를 적게 받은 연령대는 30대 미만이었다.

 



<(좌)2013년~2017년 방사선치료 환자 성별 현황, (우)2013년~2017년 연령대 별 방사선치료 환자 현황>4)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주상병을 제7차 한국 표준질병사인 분류 대분류 기준으로 묶어 5년간 현황을 도출한 결과 신생물(C00-D48)이 주상병인 환자들이 5년 평균 약 98.6%로 방사선치료 받는 상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2017년 상병(대분류) 별 방사선치료 환자 현황>5)

 

  진료행위 코드를 이용하여 ‘근접방사선치료’, ‘체부정위적방사선치료’, ‘양성자치료’, ‘세기변조방사선치료’ 4가지의 주요 방사선치료 행위에 대한 환자 현황을 도출하였다. 주요 진료행위 현황의 경우는 한사람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치료를 받았을 경우에는 중복처리 하였다.

  ‘개발도상국 형 암’이라고 알려진 자궁경부암 발생자수는 1999년 암등록 통계가 발표된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자궁경부암 치료를 위해 주로 시행되는 근접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2013년 1,400명에서 2015년 1,245명까지 감소했다가 2016년에 1,300명대로 반등하였지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체부정위적방사선치료는 2013년에는 6,653명으로 집계되었고 꾸준히 환자수가 증가하여 2018년에는 11,107명의 환자들이 체부정위적방사선치료 시술을 받았다.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양성자치료 모두 보험적용이 확대된 2014년~2015년을 기점으로 환자수가 많이 증가했다.

 

<2013년~2017년 주요 방사선치료 기법 별 환자 현황>6)

 

 

 

 

  2013년부터 2017년까지 PET/CT 검사 환자는 2013년 316,854명에서 2014년 319,533명으로 증가하였으나 2015년에 PET/CT 보험수가가 변경되면서 2014년 대비 절반 수준인 158,686명으로 감소한 이래 그 추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2013년~2014년은 여자가 남자보다 PET/CT검사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5년부터 남자가 여자보다 PET/CT 검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령대별로는 2013년~2014년은 50대 환자들이 PET/CT 촬영을 가장 많이 받았으나 2015년~2017년은 60대 환자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ET/CT 촬영을 가장 적게 한 연령대는 30대 미만이었다.

 



<(좌)2013년~2017년 PET/CT 환자 성별 현황, (우)2013년~2017년 연령대 별 PET/CT 환자 현황> 8)

 

  PET/CT 검사를 받은 환자들의 주상병의 5년간 현황을 도출한 결과, 방사선치료 주상병 현황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신생물(약 96.5~98.8%)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2017년 상병(대분류) 별 PET/CT검사 현황>9)

 

  골스캔의 경우 2013년부터 2017년까지 평균 23만 명 정도 검사를 받았으며 매년 골스캔 검사 환자수는 증가추세에 있다. 골스캔 검사 남녀 성비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약 1.7~1.8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13년~2017년 모두 PET/CT 검사와 마찬가지로 50대 환자들이 가장 많이 골스캔 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스캔 검사를 가장 적게 한 연령대는 30대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좌)2013년~2017년 골스캔 검사 환자 성별 현황, (우)2011년~2015년 연령대 별 골스캔 환자 현황>10)

 

  골스캔 검사를 받은 환자들의 주상병을 분석한 결과, 약 75.9%가 신생물(C00-D4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골스캔 검사의 경우는 PET/CT검사와는 달리 환자의 주상병이 신생물이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근 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이 손상(M00~M99)이 약 12.4%,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S00~T98)가 약 6.2%를 차지하였다.

 

<2013년~2017년 상병(대분류) 별 골스캔 검사 현황>11)

 

  서론에 언급하였듯 건강보험 청구자료는 연구목적으로 축적된 자료가 아닌 의료 이용을 기반으로 축적된 자료이다. 따라서 보험청구 시점을 기준으로 자료가 생성되고 병원별 청구관행 상 실제 상병과 다르게 상병을 입력하는 특징이 있어 실제 임상현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급여가 인정된 항목만 자료에 포함되기 때문에 비급여 항목은 분석할 수 없으며 매년 변화되는 건강보험 청구기준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이해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실제 보건의료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여 관심 질환·의료행위별 임상현황을 도출할 수 있고, 보건의료 분야 경제성 분석 등 기존 자료로 분석하기 힘들었던 수많은 연구들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가 방사선의학 분야뿐 아니라 국민 보건의료 증진에도 얼마나 많은 기여을 하게 될지 기대된다.

  어느덧 ‘방사선의학, 이것만 알려주마!’가 3주년을 맞이했다. 많은 분들이 꾸준히 봐주시는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필자도 앞으로 더욱 양질의 정보를 제공해드리리라 독자분들게 다짐해본다. ◼(다음 회에 계속 됩니다.)

 

1) 전국서 꿀벌 77억마리 실종, 원인은 이것?, 매일신문, 2022.3.14
2) 전국서 꿀벌 77억마리 실종, 원인은 이것?, 매일신문, 2022.3.14
3) 꿀벌 60억마리가 갑자기 사라졌다 왜?, 한겨래, 2022.3.15
4) 2013년~2017년 방사선치료 현황, 한국원자력의학원, 2020년
5) 2013년~2017년 방사선치료 현황, 한국원자력의학원, 2020년
6) 2013년~2017년 방사선치료 현황, 한국원자력의학원, 2020년
7) PET/CT 검사는 행위코드 HZ331~HZ335 환자 현황, 골스캔 검사는 행위코드 HC191 환자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PET/CT검사의 경우, 한명이 같은 해에 검사받은 PET/CT 행위코드가 다른 경우에는 중복처리 함
8)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한 2013년~2017년 국내 핵의학 검사 통계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0년
9)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한 2013년~2017년 국내 핵의학 검사 통계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0년
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한 2011년~2015년 국내 핵의학 검사 통계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16년
11)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한 2011년~2015년 국내 핵의학 검사 통계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16년

  • 덧글달기
    덧글달기
       IP : 18.219.95.244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