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방사선의학 연구자

본문글자크기
  • [핵의학 분야] 서울의대 배성우, 최홍윤, 이동수 교수님

    [핵의학 분야] 서울의대 배성우, 최홍윤, 이동수 교수님

관련자료보기  >

배 성 우  서울대학교병원

최 홍 윤  서울대학교병원

이 동 수  서울대학교병원

 

 

저널명

Nucleic Acids Research

 

논문제목

Discovery of molecular features underlying the morphological landscape by integrating spatial transcriptomic data with deep features of tissue images

 

연구과제 수행 중 생긴 에피소드

공간 전사체학이란 생소한 분야를 만나서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을 수행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았습니다. 모르는 분야를 공부하면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가는 재미로 연구를 지속하였고 그 덕분에 논문을 출간하고 연구 과제를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공간 전사체학 연구를 진행하면서 방향을 못 찾아 헤매고 있을 때 아낌없이 조언을 해주셨던 최홍윤 교수님 그리고 지도 교수님이신 이동수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연구과제 수행 중 보람되었던 일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에서부터 시각화하여 정리하고 논문을 작성하기까지 많은 난관이 있었지만 그 과정에서 연구에 임하는 자세 그리고 연구실 내의 다른 연구자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간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서 논문으로 출간할 수 있게 되어서 뿌듯합니다.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공간 전사체학은 Nature Methods에서 선정한 올해의 방법으로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연구 분야 중의 하나입니다. 더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진 전사체학 방법이 등장하고 있고 단일 전사체학 데이터를 포함한 여러 오믹스 데이터와 통합하는 방법론 연구도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직 정립이 되지 않은 분야인 만큼 연구할 수 있는 소재도 무궁무진하고 기존의 연구 방법으로는 알기 어려웠던 세포 사이의 공간적인 상호작용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도구로서 사용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연구활동 관련 계획

저희 연구팀에서는 공간 전사체학과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를 통합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특히, 공간 전사체학과 단일 세포 전사체학 데이터를 통합하여 공간적인 정보를 보존하면서 세포 수준의 전사체 변화를 추적하는 방법론을 구축하려고 합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공간 전사체 연구의 최신 지견을 따라가면서 여러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분석 플랫폼을 마련해보고자 합니다.

  • 덧글달기
    덧글달기
       IP : 18.219.95.244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