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의학, 이것만 알려주마

본문글자크기
기사의 제목, 출처, 작성일 정보 안내
2025년 06월호
제75화 방사선의학 임상 현황 ⑤
한국원자력의학원 김희진, 김정영 공저2025-06-05

  2025년 4월 21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향년 88세의 나이로 바티칸에서 선종하셨다. 지난 2013년 제266대 교황으로 선출되신 이후 검소한 성품과 진보적인 행보를 보여주어 전세계 가톨릭 신자와 비신자들 사이에 많은 존경을 받으셨고 세계 평화를 위해 항상 노력하셨던 교황님이시기에 필자도 괜스레 먹먹해졌다. 교황님의 평화와 안식을 빈다. 참고로, 필자는 無교이니 오해 마시길.

  교황님 선종 이후에는 새 교황을 뽑는 콘클라베(Conclave, 추기경단 비밀회의)가 시스티나 성당에서 개최된다. 전 세계 약 15억 명에 달하는 신자를 거느린 가톨릭교회 수장을 선출하는 콘클라베는 새 교황이 선출될 때까지 추기경단을 감금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교황 여부는 시스티나 성당 굴뚝 연기 색깔을 통해 대중에게 공개한다. 이번 콘클라베는 5월 7일에 개최되었고 2일 차인 5월 8일에 제267대 교황 레오 14세가 선출되었다.




< 선종하신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1), 이번에 선출된 제267대 교황 레오 14세2),

교황 선출 및 선포 현장인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후련한 듯(?) 환한 미소를 보이는 추기경단3) >

 

  이례적으로 빠른 교황 선출 소식에 각국에서도 축하 메시지를 발표한 가운데,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환한 미소를 보이는 추기경단 사진이 기사화되면서 ‘막내 라인 추기경한테 짬 때리고 퇴근에 기뻐하는 추기경들의 모습’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퍼졌다. 여담으로 미국 추기경이 기자회견에서 풀어준 콘클라베 후일담에 따르면, 교황 레오 14세는 투표 발표 중 본인 이름이 계속 불리는 것에 부담감을 느껴 머리를 손으로 감싸고 있었다고 한다.

  이처럼 전 세계를 한바탕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콘클라베가 막을 내린 가운데, 이런 행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집단이 하나 있으니 바로 베팅업체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보도에 따르면 주요 도박 사이트인 폴리마켓, 칼시, 벳페어에 모인 판돈은 최소 약 264억 원으로 이는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당시 금액의 50배에 육박한다고 한다.4) 당시 도박 사이트에서 점쳤던 교황 선출 유력 후보군들은 피에트로 파롤린,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마테오 주피 추기경 등이었는데, 꾼들이 보유하고 있는 추기경들의 정보를 토대로 도출해 낸 후보군일 것이기에 나름 과학적인 추론 절차를 거쳤다고 생각한다. - 물론 도박꾼들의 예상은 거하게 빗나갔다. - 지극히 종교적인(비과학적인) 영역인 콘클라베 결과에 베팅하는 ‘교황 도박’에도 확률과 통계라는 과학이 존재하는데, 방사선의학이라는 지극히 과학적인 영역에 통계 데이터가 없을 리 없다. 이번호에서는 2017~2021년 방사선의학 임상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연구자료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최근 현황은 결과정리 및 논문작성을 진행 중인 관계로 웹진에 싣지 못한 점 양해드린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방사선치료를 받은 전체 환자수는 2017년 77,848명에서 2021년 97,840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성별 현황은 남자보다 여자가 방사선치료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방사선치료를 받은 남자는 44,993명, 여자는 52,847명으로 2017년 대비 남녀 각각 9,598명과 10,394명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방사선치료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좌)2017년~2021년 방사선치료 환자 성별 현황, (우)2017년~2021년 연령대 별 방사선치료 환자 현황 >5)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주상병을 제7차 한국 표준질병사인 대분류 기준으로 묶어 5년간 현황을 도출한 결과 신생물(C00-D48)이 주상병인 환자들이 5년 평균 약 98.6%로 방사선치료 받는 상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7년~2021년 상병(대분류) 별 방사선치료 환자 현황 >6)

 

  '근접방사선치료', '체부정위적방사선치료', '양성자치료', '세기변조방사선치료' 4가지의 주요 방사선치료 행위에 대한 환자 현황을 도출하였다. 주요 진료행위 현황의 경우는 한사람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치료를 받은 경우는 중복처리 하였다.

  자궁경부암 치료를 위해 주로 시행되는 근접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체부정위적방사선치료는 꾸준한 증가추세 가운데 2021년 기준 14,200명이 해당 시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양성자치료는 보험적용이 확대된 2014년~2015년을 기점으로 환자수가 많이 증가했는데, 세기변조방사선치료의 경우, 2021년 기준 전체 신생물 방사선치료 환자의 약 62%로 나타났다. 양성자 치료의 경우 2017년 대비 2021년 환자수가 47.2%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7~2021년 주요 방사선치료 기법 별 환자 현황 >7)




< 2021년 주요 방사선치료 기법-암종별 환자 현황 >8)

 

 

 

  2017년부터 2021년까지 PET/CT 검사 환자는 2016년 155,001명에서 2021년 168,076명으로 나타났다. 2017~2021년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PET/CT검사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17~2021년은 모두 60대 환자들이 PET/CT 촬영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좌)2016년~2020년 PET/CT 환자 성별 현황, (우)2016년~2020년 연령대 별 PET/CT 환자 현황>9)

 

  PET/CT 검사를 받은 환자들의 주상병의 5년간 현황을 도출한 결과, 방사선치료 현황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신생물 상병이었다, 2017년에는 신생물 상병 검사 비율이 96.5%였으나 2018년부터 소폭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2019-2021년은 평균 93.5%로 나타났다.

 

< 2016~2020년 상병(대분류) 별 PET/CT검사 현황 >10)

 

 

  골스캔의 경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약 29만 5천 명 정도 검사를 받았다. 골스캔 검사 환자수는 증가추세로 2020년에는 30만 명을 돌파했다. 성별 현황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골스캔 검사를 약 1.82~1.92배 정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17년~2019년은 50대 환자들이 가장 많이 골스캔 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0년과 2021년은 60대 환자들이 골스캔 검사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좌)2017년~2020년 골스캔 검사 환자 성별 현황, (우)2017년~2021년 연령대 별 골스캔 환자 현황>11)

 

  골스캔 검사를 받은 환자들의 주상병을 분석한 결과, 신생물(C00-D48)이 약 82.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신생물 다음으로 골스캔 검사를 많이 받은 상병은 근 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이 손상(M00~M99)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2021년 상병(대분류) 별 골스캔 검사 현황>12)

 

 



< 2021년 FDG-PET 및 골스캔 암종별 환자 현황 >13)

 

  건강보험 청구자료는 연구목적으로 축적된 자료가 아닌 의료 이용을 기반으로 축적된 자료이다. 따라서 보험 청구 시점 기준으로 자료가 생성되고, 병원별 청구 관행상 실제 상병과 다르게 상병을 입력하는 경우도 있어 실제 임상 현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급여가 인정된 항목만 자료에 포함되기 때문에 비급여 항목은 분석할 수 없으며 매년 변화되는 건강보험 청구기준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이해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실제 보건의료 상황을 반영하여 관심 질환·의료행위별 임상 현황을 도출할 수 있고, 보건의료 분야 경제성 분석 등 기존 자료로 분석하기 힘들었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연구자가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로 방사선의학 웹진 ‘통계정보’ 게시판에도 연도별 ‘방사선치료 현황’ 통계가 올라가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이번호에 수록된 결과들 외에 추가적인 분석항목 의견을 주신다면 내부 검토 후 새로운 통계 결과값 개발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 보겠다. ■ (다음 회에 계속됩니다.)

 

1) https://ko.wikipedia.org/wiki/교황_프란치스코

2) https://ko.wikipedia.org/wiki/교황_레오_14세

3) https://v.daum.net/v/20250509152231775 

4)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06/TMYJLG3KWBC3JC4DTFZTBVAMAU/

5) 2017년~2021년 방사선치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6) 2017년~2021년 방사선치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7) 2017년~2021년 방사선치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8) 2017년~2021년 방사선치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9) 2017년~2021년 핵의학진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10) 2017년~2021년 핵의학진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11) 2017년~2021년 핵의학진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12) 2017년~2021년 핵의학진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13) 2017년~2021년 핵의학진료 현황 보고서, 한국원자력의학원, 2023년

  • JIN Z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