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의학의 창

본문글자크기
  • 국가바이오위원회,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과 국가바이오R&D 10대 중점 분야

    2025년 06월호
    국가바이오위원회,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과 국가바이오R&D 10대 중점 분야

 

▶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민관 협력으로 바이오 산업 도약

  2025년 1월 23일 출범한 대통령 직속위원회인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바이오산업의 국가 전략을 총괄한다. '1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에서는 바이오 분야의 진흥을 위해 1조원 이상 규모의 메가펀드 조성,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등의 논의하고,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 24개 관계부처와 민간위원이 참여해 바이오 산업의 정책방향과 규제개선, 인재양성, 글로벌 진출 등을 논의하였다.

  정부는 2035년 까지 글로벌 바이오 5대 강국 진입을 비전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프라, R&D, 산업 세축을 전면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혁신전략

  정부는 바이오산업의 혁신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규제혁신도 병행한다.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중심으로 바이오 규제혁신지원단을 운영, 신산업 창출을 위한 규제개선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또한 바이오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산학연 협력도 확대 예정이다.

  바이오 산업은 경제, 사회,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성장동력으로서 민관 협력을 통해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 강조하였다.

대한민국 바이오 3I대전환 전략(안)

▶ 국가바이오위원회, 국가 바이오 R&D 10대 중점 분야 선정

  지난 5월 20일 '2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에서는 '생명과학(바이오) 연구개발 중점분야 선별 및 규제혁신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생명과학(바이오) 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에 놓인 만큼,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세계 선도국과 경쟁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범부처 차원의 통합 연구개발 전략과 정책 지원의 일관성과 지속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위원회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이 바이오 기술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육성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역시 경쟁력 강화가 시급하다고 진단하였다. 특히, 바이오 원료‧장비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대비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 바이오 R&D 10대 중점분야를 선정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부 바이오 R&D 10대 중점분야

  이번 회의를 계기로 바이오산업의 혁신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와 산‧학‧연‧병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단순한 정책발표를 넘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이 세계 무대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신호탄이 될 것이다.

 

  • JIN Z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