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특집
이달의 방사선의학 연구자
- 2025년 03월호
[방사선생물학 분야] 연세의대 강석구 교수님
강석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뇌종양센타 신경외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연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저널명
Translational Oncology
논문제목
Disruption of bioenergetics enhances the radio-sensitivity of patient-derived glioblastoma tumorspheres
생체에너지 억제를 통한 환자 유래 교모세포종 종양구의 방사선 민감도 향상
연구과제 수행 중 생긴 에피소드
논문의 제1저자인 김서진 박사와 박준성박사의 수년간의 노력에 감사 드리며, 김서진 박사의 박사학위도 다시 한번 축하합니다. 학위 논문으로 시작된 연구를 기한내에 마무리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 것에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향후 독립하여 진행할 미래의 연구에 도움이 되었길 희망 합니다.
연구과제 수행 중 보람되었던 일
방사선생명과학단의 국가 연구비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연구로, 무엇보다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던 서울대학교병원의 이주교 교수님,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의 안지완 교수님께 감사 드리며 함께 과제를 하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다학제 국가 연구사업이 국가에서 계속 지원 되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방사선과 암연구는 서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연관이 있고, 이 분야에 대한 국내외 연구도 활발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초 연구를 하더라도 한가지 질환 한가지 암종에 대하여 깊게 연구하는 것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여러 암종에 대한 폭 넓은 연구보다는 한가지 암종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미래에 큰 경쟁력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연구활동 관련 계획
교모세포종 환자로부터 수술 중 획득한 생검 조직을 활용하여 환자 유래 종양구 및 종양 및 종양 주변 조직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 연구는 암세포에만 국한 되지 않고 암의 기원 세포로 그 범위를 확장하여 암기원세포의 방사선저항성 극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암세포와 암기원세포를 동시에 타깃하는 치료에 대한 개념을 증명할 수 있게 노력 하고 있습니다.
- 덧글달기
권장예 환우의 보호자
24년 4월 교모세포종이 3개나 머리에 있어 빨리 수술이 최선이었던 저희 어머니에게 의료파업으로 초진조차 힘든 시기였습니다. 어머니 코드명으로 초진예약을 잡았지만 쉽지 않았지요. 하지만 교수님의 배려로 속전속결 진행된 수술과 치료들 감사하고 감사합니다. 환자를 위하는 진정한 의사분이십니다.
덧글달기닫기2025-03-29 07:53:05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