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방사선의학 연구자

본문글자크기
  • [방사선종양학 분야] 서울의대 전석주 연구원, 김규보, 신경환 교수님

    2024년 12월호
    [방사선종양학 분야] 서울의대 전석주 연구원, 김규보, 신경환 교수님

관련자료보기  >

전 석 주  서울의대

김 규 보  서울의대

신 경 환  서울의대

 

저널명

Radiotherapy and Oncology

 

논문제목

Risk of radionecrosis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with brain metastasis receiving trastuzumab emtansine (T-DM1) and brain stereotactic radiosurgery

 

논문제목 (국문명)

HER2 양성 유방암 환자가 뇌 전이를 동반한 상태에서 T-DM1과 뇌 정위 방사선 수술(SRS)을 받을 경우 방사선괴사 발생 위험

 

연구과제 수행 중 생긴 에피소드

이 연구는 다기관 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여러 조건(예: HER2 양성 뇌전이 환자, SRS를 시행한 환자)에 부합하는 환자들이 각 기관별로 많지 않아 환자 모집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국내외 여러 기관의 협력 덕분에 많은 환자를 등록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각 기관의 지원과 협조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연구과제 수행 중 보람되었던 일

기존에 T-DM1과 SRS의 방사선 괴사 관련성에 대한 논문들이 여러 건 발표되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1년 이내"라는 시간 개념을 새롭게 도입한 점이 큰 차별화 요소였습니다. 단순히 T-DM1의 사용만을 다룬 것이 아니라, 일정 기한 내에 SRS가 시행되었을 때의 방사선 괴사 발생 위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가 긍정적으로 이어져 보람을 느꼈습니다.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다양한 신약들이 등장함에 따라, 신약과 방사선치료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그러나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며, 새로운 약물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만큼, 방사선치료와 신약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신약과 방사선치료를 병용했을 때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연구활동 관련 계획

앞으로는 다양한 표적치료제의 도입에 따라 방사선치료와의 병용 타이밍, 용량 최적화, 그리고 부작용 관리에 대한 다기관 연구와 장기적 관찰 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 덧글달기
    덧글달기
       IP : 18.97.9.172

    등록